저자 서문
서장 왜 문화재단을 연구하는가?
- 테마 에세이: 재단연구의 현황
1장 재단
1 비영리기관과 재단
1) 비영리기관으로서의 재단의 역할과 위치
2) 민간재단의 성장
3) 재단의 정책과 운영: 일반적 경향과 과제
2 재단의 유형
3 재단 설립의 동기
1) 경제적 동기
2) 사회적 ·정치적 동기
4 재단의 역사
1) 국내 재단의 역사
2) 미국과 영국 재단의 역사
5 각국의 문화재단 개괄
1) 영국: 틈새영역의 예술 지원
2) 미국: 세계적 명성을 지닌 대형재단의 선구자적 역할
3) 한국: 기업재단의 자체 예술기관 운영
- 테마 에세이: 재단에서 일하기
2장 예술지원과 재단
1 예술을 위한 공공지원과 민간지원
1) 정부의 예술 지원의 정당성
2) 공공과 민간의 공동지원의 장단점
3) 공동지원 환경에서의 재단의 독특한 역할
2 새로운 모델의 예술 지원자로서의 재단
3 재단의 긍정적 특성
4 재단의 새로운 지원 전략
1) 벤처지원
2) 사회사업
5 재단의 한계
6 재단에 대한 규정과 세제
1) 영국: 단순한 규정과 호의적인 세제혜택
2) 미국: 엄격한 규정과 관대한 세제혜택
3) 한국: 엄격한 규정과 제한된 세제혜택
- 테마 에세이: 공공 예술 지원의 정당성 논쟁과 예술의 가치
3장 각국의 문화지원 및 정책
1 영국: 민간지원 장려와 예술 기관의 사회적 책임 강조
2 미국: 매칭그란트 제도를 기반으로 한 연방정부 지원
3 한국: 정부의 지원과 책임 경영(자율 경영) 강조
- 테마 에세이: 팔길이 원칙의 허와 실
4장 사례연구: 재단의 예술 지원
1 영국
1) 틈새분야의 지원: 칼로스테 굴벤키안재단
2) 모든 사람을 위한 예술: 폴 햄린재단
3) 문화 리더십: 클래어 더필드재단
4) 자신의 작품 전시와 보존을 위한 재단: 핸리 무어재단
2 미국
1) 우량 경영의 귀감: 폴락 크래즈너재단
2) 전략적인 예술 지원의 개척자:...(하략)
<더 읽어보기)
댓글 없음:
댓글 쓰기